Synology NAS에 Komga Docker로 개인 도서관 구축하는 방법: 완벽 가이드
더 이상 흩어진 만화책, 잡지 파일을 찾아 헤매지 마세요. Komga Docker 설치로 손쉽게 나만의 개인 도서관을 구축하고, 언제 어디서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편리하게 감상하는 법을 알려드립니다.
혹시 집에 스캔본 만화책이나 잡지 파일이 쌓여 있으신가요? PC에 저장해두고 보려고 하면 스마트폰으로 옮겨야 하고, 파일도 이리저리 흩어져서 관리하기 번거로우셨죠? 이런 분들을 위해 아주 좋은 솔루션이 있어요! 바로 Komga라는 개인용 디지털 도서관 서버입니다. 이 Komga를 Synology NAS에 도커(Docker)로 설치하면, 언제 어디서든 내 파일을 스트리밍해서 볼 수 있게 되거든요. 마치 나만의 넷플릭스처럼요! 😊
Komga와 Docker, 왜 함께 사용해야 할까요? 🤔
Komga는 만화, 잡지, 소설 등을 관리하고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트리밍하는 데 최적화된 오픈소스 서버 프로그램이에요. 그냥 컴퓨터에 설치할 수도 있지만, Synology NAS와 Docker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훨씬 더 효율적입니다. 왜냐하면 Docker는 운영체제와 독립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컨테이너 기술이거든요. 덕분에 Komga를 설치하는 과정이 훨씬 간단해지고, NAS의 다른 기능들과 충돌할 걱정도 없어져요.
특히 Synology NAS는 기본적으로 Docker 패키지를 지원해서 설치가 아주 쉽습니다. 복잡한 설정 없이 몇 번의 클릭만으로 나만의 Komga 서버를 만들 수 있다는 거죠.
Komga는 CBR, CBZ, EPUB 등 다양한 파일 형식을 지원합니다. 특히 PDF 파일도 완벽하게 지원해서, 논문이나 PDF로 된 책도 정리할 수 있어요.
Synology NAS에 Komga Docker 설치하기: 단계별 가이드 📊
자,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Komga를 설치해볼까요? 단계별로 차근차근 따라오시면 전혀 어렵지 않아요! 먼저 Synology NAS의 DSM(DiskStation Manager)에 접속해주세요.
1단계: Docker 패키지 설치
- 패키지 센터 접속: DSM 메인 화면에서 '패키지 센터'를 열어주세요.
- Docker 검색 및 설치: 검색창에 'Docker'를 입력한 뒤, 검색된 패키지를 '설치' 버튼을 눌러 설치합니다.
- 설치 완료 확인: 설치가 완료되면 메인 메뉴에 'Docker' 아이콘이 생성됩니다.
2단계: Komga 이미지 다운로드
- Docker 실행: 설치된 Docker 아이콘을 클릭해 실행합니다.
- 레지스트리 탭 이동: 좌측 메뉴에서 '레지스트리' 탭으로 이동하세요.
- Komga 이미지 검색: 검색창에 'komga'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 이미지 다운로드: 검색 결과 중 'gotson/komga' 이미지를 더블클릭하거나 선택 후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 태그는 'latest'를 선택하시면 돼요.
3단계: Komga 컨테이너 설정
이제 가장 중요한 컨테이너 설정 단계입니다. 조금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제가 알려드리는 대로만 따라오시면 됩니다!
- 컨테이너 탭 이동: Docker 화면에서 좌측 메뉴의 '컨테이너' 탭으로 이동합니다.
- 컨테이너 생성: '생성' 버튼을 클릭한 뒤, 다운로드한 'gotson/komga' 이미지를 선택합니다.
- 고급 설정: '일반 설정'에서 컨테이너 이름을 원하는 대로 지정하고, '고급 설정' 버튼을 누릅니다.
- 볼륨 설정: '볼륨' 탭에서 '폴더 추가'를 눌러 Komga가 사용할 폴더들을 지정해야 합니다.
마운트 경로 (Komga 내부) | NAS 폴더 | 용도 |
---|---|---|
/config |
docker/komga/config |
Komga 설정 파일, DB 저장 |
/data |
docker/komga/data |
Komga 임시 파일, 캐시 저장 |
/books |
books (혹은 다른 폴더) |
만화 파일이 저장된 실제 폴더 |
- 포트 설정: '포트 설정' 탭으로 이동합니다. 로컬 포트와 컨테이너 포트 모두 8080으로 동일하게 설정해주세요. 만약 8080 포트가 이미 사용 중이라면, 로컬 포트를 다른 번호(예: 8081)로 변경합니다.
- 적용 및 실행: '적용' 버튼을 누르고, 컨테이너를 실행합니다.
볼륨 설정 시, '마운트 경로'는 Komga가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경로이므로 절대 변경하면 안 됩니다. '파일/폴더' 경로는 NAS에 실제로 생성한 폴더를 정확히 지정해주셔야 해요. 오타가 나면 작동하지 않습니다!
Komga 웹 인터페이스 접속 및 라이브러리 추가 🧮
자, 이제 거의 다 왔어요! 컨테이너가 성공적으로 실행되었다면, 웹 브라우저를 열어 Komga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Komga 접속 주소
NAS_IP_주소:8080
예를 들어, NAS의 IP 주소가 192.168.1.10이라면,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192.168.1.10:8080'을 입력하고 접속하세요. 만약 포트를 변경하셨다면 변경한 포트 번호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접속 후에는 계정 생성 및 로그인을 진행해주세요.
라이브러리 추가하기
- '라이브러리 추가' 버튼 클릭: 웹 인터페이스 상단 메뉴에서 '라이브러리' 탭으로 이동한 뒤, '라이브러리 추가' 버튼을 누릅니다.
- 경로 설정: 라이브러리 경로 설정 시, 우리가 이전에 Docker 볼륨 설정에서 지정했던 /books를 입력해야 합니다.
- 라이브러리 이름 지정: '만화'나 '잡지' 등 원하는 라이브러리 이름을 설정합니다.
- 스캔 시작: 저장 버튼을 누르면 Komga가 자동으로 해당 폴더의 파일을 스캔하여 라이브러리에 추가합니다. 파일이 많을수록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어요.
실전 예시: 만화책 컬렉션 관리 📚
40대 직장인 김모모씨의 사례를 들어볼게요. 김모모씨는 예전에 스캔해둔 만화책 파일 수백 권을 NAS에 보관 중이었어요. PC에서만 볼 수 있고, 모바일로는 파일을 옮겨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제대로 즐기지 못했죠.
김모모씨의 상황
- 파일 위치: Synology NAS의
/volume1/books/comics
폴더 - 문제점: PC에서만 볼 수 있고, 모바일에서 보려면 파일을 직접 옮겨야 함
Komga 적용 과정
1) NAS에 Docker와 Komga를 설치하고, Docker 볼륨 설정에서 /volume1/books/comics
폴더를 Komga의 /books
폴더로 연결했어요.
2) Komga에 접속해 /books
경로를 가진 '만화' 라이브러리를 추가했죠.
최종 결과
- 접근성 향상: 이제 김모모씨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언제 어디서든 NAS에 있는 만화책을 스트리밍해서 볼 수 있게 되었어요.
- 편리한 관리: Komga가 자동으로 파일 정보를 정리해주고 표지도 보여주니, 파일을 하나하나 찾아다닐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이처럼 Komga는 개인 파일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플랫폼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볼 수 있게 해주는 아주 유용한 도구예요. 한번 설치해두면 정말 삶의 질이 달라진답니다.
마무리: 핵심 내용 요약 📝
오늘 우리가 함께 알아본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볼까요? Synology NAS에 Komga를 설치하는 과정은 크게 네 가지 단계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1. Docker 설치: Synology NAS의 패키지 센터에서 Docker를 설치합니다.
- 2. Komga 이미지 다운로드: Docker의 '레지스트리'에서 'gotson/komga' 이미지를 다운로드합니다.
- 3. Komga 컨테이너 설정: 볼륨과 포트 설정을 꼼꼼히 진행하여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실행합니다.
- 4. 라이브러리 추가: 웹 인터페이스에 접속해 만화나 잡지가 있는 폴더를 '라이브러리'로 추가합니다.
Komga는 한번 설치해두면 정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개인용 디지털 도서관이에요. 여러분도 이 가이드를 통해 나만의 도서관을 성공적으로 구축하시길 바랍니다! 혹시 설치 과정에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물어봐주세요. 제가 아는 선에서 최대한 도와드릴게요. 😊
Komga 설치 핵심 요약
자주 묻는 질문 ❓
/volume1/books
)에 파일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파일을 추가한 후 Komga 웹 인터페이스에서 '라이브러리 스캔'을 다시 실행하면 새로운 파일이 자동으로 라이브러리에 추가됩니다.